728x90
반응형

석고보드
- 석고는 2분자의 결정수를 가진 황산칼슘으로 이것을 120℃~150℃로 가열하면 결정수 중 2/3는 H₂0를 잃고 소석고가 된다.
- 소석고에 물을 가하면 수화반응이 일어나고 다시 이수석고로 돌아가며 굳게 된다.
- 석고보드는 이 성질을 이용하여 두 장의 원지 사이에 물과 혼합된 석고 슬러지를 흘려 놓고 판상으로 성형한 것.
석고보드 관련 용어
불연재료
- 불에 타지 않는 성질을 가진 재료로서 KS F ISO 1182(건축 재료의 불연성 시험 방법)에 따른 시험결과, 가열시험 개시 후 20분간 가열로 내의 최고온도가 최종평형온도를 20K 초과 상승하지 않으며(단, 20분 동안 평형에 도잘하지 않으면 최종 1분간 평균 온도를 최종평형온도로 한다.)
- 가열종료 후 시험체의 질량 감소율이 30%이하이고 KS F 2271(건축물의 내장 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 중 가스유해성 시험 결과, 실험용 쥐의 평균행동정지 시간이 9분 이상인 재료
준불연재료
- 불연재료에 준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로 KS F ISO 5560-1[연소성능시험-열 방출, 연기 발생, 질량 감소율 제1부 : 열방출률]에 따른 가열시험 개시 후 10분간 총방출열량이 8MJ/m2 이하이며
- 10분간 최대 열방출률이 10초 이상 연속으로 200kW/m2를 초과하지 않으며, 10분간 가열후 시험체를 관동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융 등이 없고,
- KS F 2271 중 가스유해성 시험 결과, 실험용 쥐의 평균행동정지 시간이 9분 이상인 재료
천연석고
- 자연 합성물로서 광산에서 체취한 석고를 말한다.
화학석고
- 천연이 아닌 화학공장, 화학발전소 등에서 부산되는 석고를 총체적으로 말하며, 부산 석고라고도 한다.
- 주로 인산 제조공장에서 인광석의 황산분해 때 생성되는 인산 석고, 화력발전소의 배출가스 중 이산화황을 석회유로 중화하여 생성하는 배연탈황석고를 지칭한다.
- 산회티탄 제조공장에서 부산되는 티탄 석고, 플루오르산 제조공장에서 부산되는 플루오르 석고 등도 있다.
배연탈황석고
- 연소에 의해 생기는 배연에서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것을 일컫는다. 배연 탈황은 건식과 습식으로 나눌 수 있다.
- 건식에는 활성탄 흡착법, 접촉산화법이 있다.
- 습식에서는 흡착법, 활성탄 흡착법 등이 있으며 황산 암모늄, 황산, 석고 등으로 회수 가능하다.
- 실용적으로 습식이 많이 쓰이며, 탈확률이 90%이상으로 높은 장점이 있다.
인산석고
- 습식 인상 제조과정에서 인광석의 황산 분해시 생기는 석고를 말한다.
- 반응시 인산 농도와 온도에 따라 무수염, 반수염 혹은 이수염이 생성된다.
- 시멘트와 건축용 보드 등에는 거칠고 결정성이 좋고, 세정과 여과가 용이한 이수염을 주로한다.
구분 | 천연석고보드 | 화학석고보드 | |
주원료 | 자연 합성물로서 광산에서 체취한 천연석고 | 화력발전소 탈황공정부산물인 배연탈황석고 | 인산비료공장의 비료 제조 부산물인 인산석고 |
석고산지 | 미국, 캐나다, 중국, 태국 등 | 태안, 당진, 울산, 여수 | 여수 |
제조사 | 조지아퍼시픽, 크나우프 | KCC, USG보랄 | |
친환경성 | 국내 친환경 인증 없음 친환경 관련 성능 검증 이력 없음 (방사능, 유해물질 방출량 등) |
국내 친환경 인증보유 환경마크, HB마크, 저탄소인증 |
탈황석고 대비 방사능 물질 함유량이 높음 |
제품 형태 | 일반 판상형태의 석고보드 | 일반 판상형태 석고 및 유공 석고보드 |


석고보드의 특징
방화성
- 석고보드는 석고 자체에 약 20%의 결정수분 (CaSO4 2H2O)을 함유하고 있어 화재 발생시 초기 방화 및 연소를 지연시켜 주는데 큰 역할을 한다.
- 무기질 구성물로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아 합판 대체 및 내화 방화 구조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방균성
- 방균석고보드는 석고보드 전체에 방균처리를 하여 곰팡이 번식과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차음성
- 석고보드는 차음성능이 뛰어나(동 중량의 120%정도) 외부 소음을 차단하여 도심의 병원, 사무실 조용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방수성
- 방수석고보드는 석고보드의 심재인 석고를 특수 방수 처리하여 방수 성능이 우수하므로 습기가 많은 욕실, 부엌 등에서 사용한다.
단열성
- 석고 자체의 열전도율(0.14 ㎉/mh℃)이 낮아 겨울철, 여름철의 외부온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 따라서 연료비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석고보드의 종류
- 일반석고보드 = 반수석고 + 물 + 원지 + 경화제 + 발포제
- 방균석고보드 = 일반석고보드 + 방균제(곰팡이방지제)
- 방수석고보드 = 일반석고보드 + 방수액(방수성능향상)
- 방화석고보드 = 일반석고보드 + 내화제(내화성능향상)
- 방화방수석고보드 = 일반석고보드 + 내화제 + 방수액
- 차음석고보드 = 일반석고보드 + 차음개선재
종류 | 기호 | 모양 | 용도 |
일반 석고보드 | GB-R | 석고 보드 제품의 표준적인 것 | 벽 및 천장의 기초재 및 마감재료 |
방수 석고보드 | GB-S | 양면 보드용 원지 및 심재 석고에 방수 처리를 한 것 | 부엌, 욕실 등 실내의 다습한 장소의 벽, 천장 및 외벽의 기초재 및 마감재료 |
방화 석고보드 | GB-F | 석고 보드의 심재에 무기실 섬유 등을 혼입한 것 | 벽 및 천장의 기초재, 방화, 내화 구조 등의 구성재 |
석고 라스 보드 | GB-L | 석고 보드의 표면에 직사각형의 오목부를 붙인 것 | 석고 플라스터의 내부 기초재 |
치장 석고 보드 | GB-D | 석고 보드의 표면을 치장 가공한 것 | 벽 및 천장의 마감재 |
흡음 석고 보드 | GB-P | 석고 보드를 관통하도록 타공 가공한 것 | 흡음을 요구하는 공간의 벽 및 천장의 마감재 |

728x90
반응형
'건설자재 > 단열재 , 석고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열재의 종류와 보관 방법 | 건설 자재 (0) | 2020.10.13 |
---|---|
단열재의 정의와 자재선정 기준 | 건설 자재 (0) | 2020.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