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시공23

건설폐기물 중간처리단가(2022년) 건설폐기물 처리단가(2022년) 건설폐기물 배출지별 중간처리단가 1. 도로, 교량, 옹벽 철거공사 (단위: 원/톤) 배 출 지 품 명 적 용 범 위 적용단가 도로, 교량 옹벽 철거공사 폐콘크리트 토목 구조물 해체시 발생하는 이물질이 없는 순수한 폐콘크리트 27,366 폐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도로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없는 순수한 폐아스팔트콘크리트 29,397 2. 재건축ㆍ재개발 공사 배 출 지 품 명 적 용 범 위 적용단가 재건축ㆍ재개발 공사 (주택ㆍ아파트 등 철거ㆍ해체 공사) 건설폐재류 가연성폐기물이 제거된 상태로서 폐콘크리트, 폐아스콘이 일부 포함되어 있고, 폐벽돌, 폐기와, 폐토사 등 재활용이 가능한 비금속광물질이 각각 또는 혼합배출된 상태 46,111 건설오니 준설공사, 굴착공사, 지하구조물공사 등.. 2022. 9. 27.
2022년 하반기 건설업 노임 단가 개별직종노임단가 공 표 일 번 호 직 종 명 2022.9.1 2022.1.1 2021.9.1 2021.1.1 1001 작업반장 191,344 189,313 182,544 180,013 1002 보통인부 153,671 148,510 144,481 141,096 1003 특별인부 192,375 187,435 181,293 179,203 1004 조력공 162,577 160,048 153,674 152,740 *1005 제도사 207,792 194,662 188,233 186,251 1006 비계공 269,039 262,297 254,117 247,977 1007 형틀목공 246,376 242,138 230,766 226,280 1008 철근공 240,080 236,805 229,629 228,896 1009.. 2022. 9. 24.
고소작업대 안전작업 가이드 (종류 및 용어정리) 고소작업대 안전작업 가이드 고소작업대 구조 및 안전장치 고소작업대(MEWP:Moblie Elevated Work Platform) 작업대(Work Platform), 연장구조물(Boom등), 차대(Chassis)로 구성되며 동력에 의해 사람이 탑승한 작업대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키는 건설기계·장비를 말하며, 자동차(트럭) 위에 붐을 설치하고 그 끝에 작업대가 설치된 형태이며 시저형, 굴절형, 유압식 등 작업여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차량탑재형(車輛搭載型) 고소작업대란? 자동차관리법에 따른 화물특수자동차에 고소작업용 작업대를 탑재된 것으로, 건물 외벽공사, 유리공사, 간판설치·보수작업 등의 고소작업을 하는 장비로 주로 건설 현장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시저형(Scissor)이란? 작업대가 .. 2021. 3. 23.
콘크리트 블록 시공 시방서 콘크리트 블록 시공 블록공사 자재 및 작업환경 블록의 운반 및 취급에 있어서 깨지거나 모서리가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블록은 평탄한 곳에 높이 1.6m이하로 적재하며, 우수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한다. 모래,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는 표준규정을 준수한다. 기온이 4도씨 이하일 경우 한냉기 쌓기로 한다. 블록은 KS F 4002에 적합한 속빈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한다 시공 준비 블록 쌓기 내부면의 방수시공상태, 벽면처리상태 등을 미리 확인하고 블록 시공부위의 먹줄놓기 상태를 점검한다. 블록에 묻은 흙, 먼지, 기타 더러운 것은 미리 제거하고 블럭쌓기 바탕부위는 깨끗이 청소한다. 블록 쌓기 특기가 없는 경우, 막힌 줄눈의 치장블록쌓기로 한다. 기준틀 또는 블록 나누기의 먹매김에 따라 모서리, 중간요소, 기타 기.. 2021. 3. 2.
조적시공 균열 및 부실 방지 대책 등 | 조적공사 조적시공 균열 및 부실 방지 대책, 인방설치, 치장줄눈, 방충, 시공오차 균열방지대책 균열 발생 부위 1) 창호 및 개구부 주위 2) 콘크리트 등 이질재와의 접합부위 방지대책 1) 이질재와 접합부위에 보강재(메탈라스 등) 또는 신축줄눈 설치 2) 세로줄눈 폭 확보 및 충전(붙여쌓기 금지) 3) 콘크리트 벽돌의 품질확보 4) 보강철물 매입 5) 창호 인방의 강도 확보, 정확한 위치에 시공 6) 적절한 간격으로 신축줄눈 설치 부실시공 방지대책 부실시공 유형 1) 세로줄눈이 없이 맞대어 쌓거나 줄눈 충전불량 2) 상단부 조적의 수직불량 3) 개구부 및 인방의 위치, 길이불량, 누락 등 4) 배관 홈주위, 공간쌓기의 긴결철선 부족시공 5) 문틀, 창틀, 배관주위 사품불량 6) 벽체 상단부 사춤불량 방지대책 1).. 2021. 2. 22.
부위별 조적 시공방법 | 조적공사 부위별 시공방법 창호주위 창인방 설치는 현장타설 또는 PC인방 제작 사용 ① 인방길이 : 개구부 양측 20㎝ 이상 물림 ② 인방 Con'c 현장타설시 철근배근 상태, 단열재설치 및 Con'c배합상태 확인 ③ 인방 설치높이 적정여부 확인 ④ 인방을 P.C로 제작 설치시 인방하우베 10mm 모르터를 균등히 깔고 인방 안착 ⑤ PC인방 사용 : 계량기함, PD인방 제작 설치 문틀상부 아치쌓기 또는 PC인방 제작 설치 목재문틀 ① 방부재 칠 (크레오소트유) - 문틀 배면의 매립부위만 칠함 ② 조적면에 설치되는 경우 고정철물 설치 - 선틀높이 1.5m이하 : 개소당 4개 - 1.5m 초과 : 〃 6개 - 상부는 중앙에 고정철물 1개소 설치 상단 쌓기 문틀에 벽돌 밀착시공 금지(15~20mm가량 이격) - 문틀 변.. 2021. 2. 3.
밀폐공간에 왜 위험한 공기가 있을까? | 안전보건공단 왜, 밀폐공간에 위험한 공기가 있을까? 밀폐공간에 산소가 부족하거나 유해가스, 즉 ‘위험한 공기’가 있는 이유는 바로 산소부족이나 유해 가스가 발생할 만한 조건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저장용기나 저장물질의 산화 저장용 탱크 내벽 또는 저장물이 산화되거나 반응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산소를 소모하여 탱크 내부를 산소부족 상태로 만듭니다. 저장용 탱크 재질의 산화 철재 탱크 내에 물기가 있거나 장기간 밀폐되면 내벽이 산화(녹이 스는 현상)되면서 탱크 내부의 산소를 소모합니다. 강재의 보일러, 탱크 반응탑, 압력용기, 반응기, 추출기, 분리기, 열교환기, 선창, 선박의 이중저 등 저장 또는 운반물질의 산화 석탄, 강재, 고철 등은 상온에서도 공기 중의 산소를 소모합니다. 석탄, 강재, 고철 등을 담은 탱크, 호퍼.. 2021. 1. 23.
콘크리트 벽돌쌓기 및 주의사항 | 조적공사 콘크리트 벽돌쌓기 및 주의사항 벽돌 쌓기 벽돌쌓기 일반사항 1) 쌓기용 모르터 배합은 1:3으로 하고 기둥, 벽체, 슬래브에 면한 부위는 모르터 충전을 철저히 하여 결로 및 크랙 방지 콘크리트와 달리 쉽게 동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기온저하시 에는 보양 대책을 세울 것 - 기온 4℃ 이하에서는 모래, 물 등을 가열하여 사용하고 부 직포 등으로 보양 - 0℃이하에서는 작업금지 2) 줄눈의 크기는 10mm를 필히 지킬 것이며 세로줄눈 모르터는 벽돌 마구리에 모르터를 붙여서 시공토록 할 것 3) 복도 및 발코니측 외벽하부의 방수높이까지는 방수두께를 감 안하여 들여쌓기를 실시 할 것 4) 조적쌓기 작업이 종료되었을 경우 즉시 모르터 찌꺼기를 제 거할 것 5) 하단 조적 후 작업종료시 벽돌 상부에는 모르터를 깔지 .. 2021. 1. 22.
밀폐공간 질식재해가 위험한 이유 | 안전보건공단 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 안전작업 가이드 질식과 밀실공간 왜? 질식재해가 위험할까요? 숨을 쉬지 못하면 죽습니다. - 사람의 신체 조직은 공기 중 산소를 필요로 하며, 숨을 쉬어 공기 중 산소를 체내로 가져오게 되는데 숨을 쉬지 못한다면 체내로 산소를 가져오지 못해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됩니다. 이를 ‘질식’이라고 합니다. 질식재해가 발생하면 2명중 1명은 죽습니다. - 일반 사고성 재해에서 사망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 재해자의 1.2%이나, 질식재해에서 사망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52.9%에 이르고 있어 2명 중 1명이 사망할 만큼 치명적입니다. 어떤 장소에 질식재해 위험이 있을까? 질식을 일으킬 수 있는 장소는 다양합니다. - 사업장 내 질식을 일으킬 수 있는 장소는 기본적으로 환기가 부족하고, 산소부족.. 2021.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