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Wall Girder, 목재건조방법, 수장용 목재의 함수율
Wall Girder
개요
- 조적조 벽체를 일체화 시키고 하중분포를 균등하게 하기 위해 조적벽체 상부에 설치하는 철근콘크리트 보를 말한다.
필요성
- 벽체의 강성 확보
- 균등한 하중 분포
- 횡력 및 집중 하중에 대한 보강
- 개구부 주위 균열 방지
설치위치 및 방법
- 기초벽 상부
- 내력벽 상부
- 폭은 벽두께 이상
- 춤은 벽두께의 1.5배 이상
시공시 유의사항
- 테두리보의 너비는 내력벽 두께보다 클 것
- 정착길이는 40d 이상
- 정착철근은 서로 맞닿지 않도록 할 것
- 압축철근의 이음길이는 25d 이상
목재건조의 목적 및 방법
목재건조의 목적
- 사용후의 수축 및 균열 방지
- 강도 및 내구성의 증진
- 도장이나 약재처리의 용이성
- 중량경감과 그로 인한 취급 및 운반비의 절약
- 균류에 의한 부식과 벌레의 피해를 예방
목재 건조방법
- 자연건조법
- 공기건조법
- 수침법
- 인공건조법
수장용 목재의 함수율
함수율이란
- 전건재(100~110℃에서 건조된 무수상태 목재) 중량에 대한 함수량의 백분율을 말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 이상에서는 강도가 일정하나 섬유포화점 이하가 되면 강도는 급격히 증가한다.
- 함수율 : 함수율(%) = 모재의 함수량 / 전건재 중량 X 100%
목재의 함수상태
- 절건재(0%),
- 기건재(12~18%),
- 섬유포화점(25~30%)
수장용 적정 함수율
- A종 18% 이하
- B종 20% 이하
- C종 24% 이하
함수율의 영향
- 함수율이 섬유포화점 이하이면 세포수 증발로 목재 수축
- 섬유포화점 이상의 함수율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 변형 없음
- 비중과 수축은 비례, 변재는 심재보다 수축 팽창이 크다
- 밀도가 크고 견고한 수종일수록 수축량이 큼 강도
목재 함수율에 따른 강도 변화
-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 감소 → 강도증대
- 섬유포화점 이상에서는 변화 없음
728x90
반응형
'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 건축마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현장 환경관리 및 현장 안전관리비 사용 | 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0) | 2021.02.05 |
---|---|
단열 공법 적용시 고려사항 | 건축시공기술사 (0) | 2020.12.03 |
실내공기질 관리대책 | 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0) | 2020.12.03 |
가설공사가 본공사에 미치는 영향 | 가설공사 (0) | 2020.11.17 |
석재 가공시 석재의 결함원인 및 대책 | 마감공사 건축시공기술사 (0) | 2020.1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