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콘크리트 블록 시공
블록공사
자재 및 작업환경
- 블록의 운반 및 취급에 있어서 깨지거나 모서리가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 블록은 평탄한 곳에 높이 1.6m이하로 적재하며, 우수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한다.
- 모래,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는 표준규정을 준수한다.
- 기온이 4도씨 이하일 경우 한냉기 쌓기로 한다.
- 블록은 KS F 4002에 적합한 속빈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한다
시공
준비
- 블록 쌓기 내부면의 방수시공상태, 벽면처리상태 등을 미리 확인하고 블록 시공부위의 먹줄놓기 상태를 점검한다.
- 블록에 묻은 흙, 먼지, 기타 더러운 것은 미리 제거하고 블럭쌓기 바탕부위는 깨끗이 청소한다.
블록 쌓기
- 특기가 없는 경우, 막힌 줄눈의 치장블록쌓기로 한다.
- 기준틀 또는 블록 나누기의 먹매김에 따라 모서리, 중간요소, 기타 기준이 되는 부분을 먼저 정확하게 쌓은 다음 수평실을 치고 먼저 쌓은 블록을 기준으로 하여 수평실에 맞추어 모서리부에서부터 차례로 쌓아간다
- 블록은 빈 속의 경사(Taper)에 의한 살두께가 큰 편을 위로 하여 쌓는다.
- 블록의 절단은 동력 석재톱을 써서 정확히 절단하고 금강사나 금강석으로 매끈하게 갈아야 한다.
- 가로줄눈 모르터는 블록의 중간살을 제외한 양면살 전체에, 세로줄눈 모르터는 마구리 접합면에 각각 발라 수평, 수직이 되게 쌓는다.
- 블록은 턱솔이 없도록 수평실에 맞추어 줄눈이 일매지고 줄 바르게 대어 쌓는다.
- 치장이 되는 면은 오염되지 않도록그때마다 청소한다.
- 하루의 쌓기 높이는 1.5m 이내로 하다.
- 줄눈 모르터는 쌓은 후 줄눈누르기 및 줄눈파기를 한다.
- 특별한 지정이 없으면 가로줄눈 및 세로줄눈의 두께는 10㎜로 한다. 치장줄눈을 할 때에는 흙손을 사용하여 줄눈이 완전히 굳기 전에 줄눈파기를 하여 치장줄눈을 바른다.
- 블록보강용 철물 및 블록메쉬는 도면에 별도의 명시가 있을 때 시공한다.
- 블록벽면에 부득이 줄홈을 파서 배관할 때는 그 자리는 블록의 빈속까지 모두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 채운다.
728x90
반응형
'건축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폐기물 중간처리단가(2022년) (0) | 2022.09.27 |
---|---|
2022년 하반기 건설업 노임 단가 (1) | 2022.09.24 |
조적시공 균열 및 부실 방지 대책 등 | 조적공사 (0) | 2021.02.22 |
부위별 조적 시공방법 | 조적공사 (0) | 2021.02.03 |
콘크리트 벽돌쌓기 및 주의사항 | 조적공사 (0) | 2021.0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