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산견적, Lean건설, 인공지능, 혼화제, 콘크리트 유동화제 등
481. 개산견적 건물의 구조, 용도, 마무리 정도를 검토하여 과거와 유사한 건물조건의 실적. 통계, Data등을 참조로 공사비를 개산하는 견적이다. 개산견적은 설계도서가 불명확 하거나, 정확하게 산출할 시간 이 없을경우에 주로 이용된다. 482. 부위별 적산내역서 현행 공사비 구성방법은 시공자측의 표현방식이므로 설계시 Cost check가 불편하고, 발주자 측에서도 사용하기가 어렵다. 초심자도 알기 쉽도록 건축물의 요소와 부분을 기능별로 분류 하고, 집합된 것을 Cost로 나타낸 것이 부위별 적산이다. 483. 공사원가계산에 의한 공사비 구성요소 공사원가를 계산함에있어 공사비 비목의 구성은 매우 중요하다. 공사비는 직접비, 간접비, 현장경비, 및 일반관리비 등으로 구성 되고, 예산집행후 결과가 차기공사..
2020. 6. 30.
적격낙찰제도, 표준공기제도, 계약금액조정, 수평규준틀, 흙의전단강도 등 | 용어정리
401. 적격 낙찰제도(적격심사제도) 경쟁력있는 업체선정을 위하여 도입된 낙찰 제도로써, 예정가격에 최저가로 입찰한 도급업체를 순위별로 지정하여 입찰후 7일 이내 에 자본, 실적증명, 기술력등의 평가서류를 제출케하여 도급수행 능력을 종합평가하는 제도이다. 402. Dumping = 덤핑 1) Dumping이란? 공사원가 이하로 도급을 맡는 것으로써, 품질 저하, 부실시공등의 원인이다. 2) 건축공사에서는 덤핑의 한계가 명확하진 않으나 보통 예정가의 80%이하를 덤핑입찰로 보고 있다. 403. 표준공기 제도 발주자 측에서 설계 및 시공에 필요한 공사기간을 표준화하여 정해놓고, 시공자에게 공사를 진행하게하는 제도로써, 무리한 공기단축으로 발생될수 있는 부실시공, 품질저하등을 사전에 예방하기위한 방안이다. 4..
2020. 6. 15.
부축벽, ALC, 철근부착강도 등 | 용어정리
341. 부축벽 = Buttress Wall 부축벽이란? 건물외부에 기둥모양으로 달아낸 벽체를 말하며, 횡력, 지진력, 풍력등에 저항하며, 벽체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하 여 설치하는 내력벽의 일종이다. 내력벽이란 벽체, 지붕, 바닥등의 자중 또는 집중하중, 연직 하중등의 외력을 받아 그 힘을 안전하게 전달시키며, 구조체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주요벽체를 말한다. 342. 제게르콘 = 세제르콘 = Seger Cone 제게르콘은 높이 5cm정도의 가늘고 긴 3각뿔 모양으로 만들어 져 있으며, 각각의 번호에따라 연화온도가 정해져 있으며, 내 화도 측정법에서 사용되는 피 측정물 이다. 내화벽돌은 내화도나 노대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제게르 번호를 갖도록 만들어져 있다. 343. A.L.C ALC 란/ 석회질, 또는 규산질..
2020. 6. 9.
시공성, CM계약의 유형 품질감리 등 | 용어정리
321. 시공성( Constructability) 프로젝트 생산통합화의 한 방법인 Constructability는 business roundtable에 의해서 제안되었으며,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CII)에서는 1968년에 이 접근방법을 연구하기 위해 실무팀을 구성하였다. Constructability는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 여 계획,설계,구매,현장운용시에 시공지식과 경험을 최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3) 시공성을 건설 프로젝트에 활용함으로써, 공기단축, 품질향상, 원가절감, 안전성확보등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322. CM계약의 유형 CM ( Construction Management)방식은 기획, 설계, 시공에서 유지관리의 전과정에..
2020. 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