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기술사총론1 현장책임자로서 공사계획, VE, 설계단계 원가절감 | 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6. 현장책임자로서 공사계획의 준비항목과 내용 6.1 공사계획 수립 목적 건축생산성 향상, 요구품질확보, 원가절감을 통한 기업이윤 증대, 안전성 향상, 지정공사기간의 준수 및 단축 6.2 시공계획내용 사전조사 : 설계조건파악, 계약조건파악, 입지조사, 지반조사, 건설공해, 기상, 관계법규 공법선정 : 시공성, 경제성, 안전성, 무공해성 4요소(공사관리) : 공정계획, 품질계획, 원가계획, 안전계획, 환경계획 6M(조달계획) : 노무계획, 자재계획, 장비계획, 자금계획, 공법계획, 기술축적 가설계획 : 동력, 양중, 용수, 수송 관리계획 : 하도급 업자선정, 사무관리, 현장원편성, 대외업무관리, 실행예산 7. 설계단계에서 적정공사비 예측방법 7.1 개요 Cost planning이란 기획단계, 설계단계에서 .. 2020. 6.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