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지반공사 분야의 건설기준용어
용어 | 설명 |
가설흙막이 공사 | 굴착 또는 성토 공사시 지반의 붕괴, 주변의 침하 등을 방지하기 위한 가설흙막이 벽체의 안정적 시공과 관련된 공사 |
강널말뚝 | 흙막이, 물막이 공사 등에서 토압 저항 및 차수 목적으로 사용되는 강재 널말뚝 |
개착공법 | 자연비탈면 터파기, 흙막이, 물막이 등을 사용하여 지표에서 굴착하고 현장타설, 프리캐스트, 파형강판 등 구조물을 구축한 후 되메움하는 일반적인 공법 |
공동구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9호의 규정에 의한 공동구를 말하며, 지하 매설물(전기·가스· 수도 등의 공급설비, 통신시설, 하수도시설, 소방설비 등)을 공동 수용함으로써 도시 미관의 개선, 도로 구조의 보전 및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지하에 설치하는 시설물 |
굴착공사 | 굴착면의 안정을 위해 필요시 가설흙막이공사가 수반 되는 구조물의 기초나 지하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소정의 모양으로 지반을 파내는 공사 |
기초공사 | 구조물의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하는 얕은기초와 깊은기초 구조물의 시공과 관련된 공사 |
록볼트 | 지반을 보강하거나 변위를 구속하여 지반의 저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설치하는 부재 |
버팀대 | 흙막이 벽에 작용하는 수평력을 굴착현장 내부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수평 또는 경사로 설치하는 압축 부재 |
비탈면공사 | 비탈면 안정을 위해 앵커, 네일, 옹벽, 배수 등의 공사 필요시 부가적으로 요구되어지는 지반 깎기 또는 쌓기 등의 비탈진 지형을 만드는 공사 |
소단 | 비탈면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비탈면 중간에 설치된 수평면 |
소일네일 | 벽체 형성을 위해 지반에 삽입하고 그라우팅하여 지지하는 철근, 봉재, 관재 등을 말함 |
앵커공사 | 흙막이벽 구조물 지지, 비탈면, 굴착 및 터널의 안정화, 구조물의 융기에 대한 저항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앵커의 시공과 관련된 공사 |
엄지말뚝 | 굴착 경계면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는 강재 말뚝으로서 흙막이판과 더불어 흙막이 벽을 이루며 배면의 토압 및 수압을 직접 지지하는 수직 휨부재 |
연약지반공사 | 상부구조물을 지지할 수 없는 상태의 연약지반을 대상으로 건설될 구조물에 대한 안정성(지지력과 침하) 확보를 위해 시행되는 지반의 보강이나 개량 등의 공사 |
옹벽공사 | 콘크리트, 보강토, 돌망태공, 기대기, 돌쌓기 옹벽 등의 건설과 관련된 공사 |
지반앵커 | 선단부를 지반에 정착시켜 흙막이벽 또는 비탈면 등을 지지하기 위한 앵커 |
지하연속벽 | 안정액을 사용하여 지반을 굴착하고 철근망을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에 시공된 철근 콘크리트 연속벽체 |
토공사 | 자연지형에 구조물 또는 시설물 건설을 위한 터파기, 되메우기 및 다짐, 흙쌓기, 흙깎기, 잔토처리 등 흙을 대상으로 하는 지반 형성 공사 |
흙막이구조물 | 굴착 또는 성토시 지반의 붕괴, 주변의 침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구조물 |
접이음 | 철근을 겹쳐 이음하여 콘크리트의 부착을 좋게 함으로써 철근의 응력을 크게 하는 것 |
지수판 | 수밀을 위하여 동판, 스테인리스판, 인조 고무판 등 수 밀성, 내구성, 신축성이 우수한 재료로 만들어진 콘크리트 이음부에 묻는판 형태의 자재 |
폼타이 | 타설 직후의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유체압에 의해서 거푸집판이 벌어지지 않도록 잡아 매어두는 인장재 |
구조적 뒤채움 | 파형강판구조물의 연성거동을 보장하도록 구조물 주변의 일정 범위에 양질의 흙 또는 기타 채움재를 관련 기준에 따라 다짐 성토하는 것 |
단면 폭과 높이 | 구조물 단면의 최대 폭과 높이 |
베딩 |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폐합 단면의 파형강판지 중구조물을 설치할 때 구조물 하부와 접하는 면에 완충역 할을 하기 위해 포설하는 양질의 토사층 |
아칭 | 지중에 설치되는 구조물과 주변 뒤채움 토사 간의 상대적 변위에 의해 구조물에 작용하는 연직토압의 일부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현상 |
최소토피두께 | 지중구조물의 안정적 거동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 한의 토피 두께 |
토피 | 지중구조물 정점으로부터 지표면까지의 지반 |
파형강판 | 일정 크기의 구조용 강판을 정해진 규격의 주름 모양으로 성형한 금속판 |
파형강판 구조물 | 파형강판을 볼트로 연결하여 단면을 형성한 후 주변과 상부를 구조적 뒤채움재로 다짐하여 흙,구조물 상호작용에 의해 외부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물 |
배터보드 | 굴착준비를 위하여 목재의 규준틀 말뚝에 못을 박아댄 가로나무 |
스페이서 | ①거푸집 간격유지와 철근, 프리스트레스용 강재, 쉬스 등에 소정의 철근피복을 가지게 하거나 그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쓰이는 콘크리트제, 모르타르제, 금속제, 플라스틱제 등의 부품 ②유리끼우기 홈의 측면과 유리면 사이의 면 클리어런스를 주며, 유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블록 |
칼라 | 흄관을 이을때 이음부에서 사용되는 둥글고 길이 가 짧은 이음관 |
개착공법 | 자연비탈면 터파기, 흙막이, 물막이 등을 사용하여 지 표에서 굴착하고 현장타설, 프리캐스트, 파형강판 등 구조 물을 구축한 후 되메움하는 일반적인 공법 |
공동구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9호 의 규정에 의한 공동구를 말하며, 지하 매설물(전기·가스· 수도 등의 공급설비, 통신시설, 하수도시설, 소방설비 등)을 공동 수용함으로써 도시 미관의 개선, 도로 구조의 보전 및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지하에 설치하는 시설물 |
공동구본체 | 공동구를 형성하는 구조체 |
부대시설 | 공동구의 기능을 유지하는 시설로서 공동구 관리 사무소, 급ㆍ배수설비, 환기설비, 전원설비, 조명설비, 중 앙통제설비, 방재설비, 상황표지판, 기타설비 등을 말함 |
728x90
반응형
'건설기준용어 > 공통, 지반,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반건설 분야의 건설기준용어 (0) | 2020.11.09 |
---|---|
지반건설 분야의 건설기준용어 (0) | 2020.10.28 |
공통 분야의 건설기준용어 (0) | 2020.10.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