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지반건설 분야의 건설기준용어
용어 | 설명 |
비개착공법 |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개착공법 이외의 공법으로서 발파공법, TBM공법, 쉴드(Shield)공법, 쉴드(Shield) TBM공법과 하천, 철도, 교량 등을 통과하기 위한 특수공법 등을 말함 |
건전도지수 | 항타로 인한 말뚝의 손상 정도를 알려주는 지수 |
계획최대시험 하중 | 시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험말뚝에 가하는 최대하중 |
단계재하방식 | 하중을 단계적으로 일정시간 지속시키면서 하중을 증가시키는 재하방식 |
말뚝의 최대 직경 | 말뚝직경, 선단부 고결직경, 확대 선단직경 등 원지반과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의 최대직경 |
말뚝의 파괴 | 작용하중 하의 말뚝 본체 파괴 |
말뚝 직경 | 말뚝의 외경 |
사용말뚝(본말뚝) | 실제 구조물의 기초로 사용될 말뚝 |
시험말뚝 | 설계의 적정성, 실제 지반조건, 시공성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말뚝(본 말뚝) 시공 전 기초부지 인근에 시험적으로 시공하는 별도의 말뚝 |
연속재하방식 | 하중을 유지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하중을 증가시키는 재하방식 |
일방향 반복 재하시험 | 말뚝의 한 방향으로 일정 간경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하중을 반복적으로 가하는 시험방법 |
양방향 반복 재하시험 | 하중 가력위치를 180도 간격으로 배치하여 양방향으로 재하하는 시험방법 |
재하용량 | 1방향 재하하중(즉, 잭의 용량)으로 정의하여야 하며 상・하방향의 합계하중으로 정의하지 않아야 됨. 재하용 량은 계획최대시험하중 이상이 되어야 함. |
재항타 | 말뚝 시공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시간 경과에 따 른 주면 마찰력의 증감, 지지력의 시간 효과 확인과 함계 말뚝의 허용지지력을 산정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항타 |
정적재하 | 말뚝과 지반의 속도 및 가속도에 의존한 저항을 무시 할 수 있는 재하 |
주기재하방법 | 하중을 주기별로 재하 및 제하하여 재하하는 방법 |
초기항타 | 지지력 평가를 위한 동재하시험의 실시시기를 정의하 는 용어로서 항타 직후 지지력을 산정하기 위하여 실시 |
축하중 전이 측정용 센서 | 축하중을 받는 지중구조물에서 전하중의 합력이 중심 을 통과하여 횡단면에 수직으로 균일하게 분포하는 하중 을 측정하기 위한 계측센서 |
캡브록 | 항타기 플레이트와 파일 상단의 드라이브 캡 사이에 삽입된 재료(해머쿠션이라고도 함) |
쿠션 | 말뚝 상단의 드라이브 캡과 말뚝 사이에 삽입된 재료 (파일 쿠션이라고도 함) |
파일임피던스 |
항타 시 속도 변화에 대한 말뚝의 저항 |
표준재하방법 | 하중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며, 임의 하중단계에서는 일정 시간 지속하면서 하중을 재하하는 방법 |
항타 | 말뚝을 지지층에 관입하기 위해 드롭해머, 팀해머, 디 젤해머, 유압해머와 같은 충격식 해머를 이용하여 말뚝에 충격력을 가하는 것 |
항타관리시험 | 항타 중 말뚝에 발생하는 압축/인장응력, 전달되는 최 대에너지, 관입저항 등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항타 중 말 뚝의 건전도 확인, 해머 선정의 적정성과 지반의 관입저항 을 측정하여 말뚝의 항타관입성 등을 확인하는 시험, 파동 방정식에 의한 항타관리 기준(해머낙하고-최종관입량-지 지력관계)을 확인/검증하거나 새로운 항타관리 기준을 만 드는 시험 |
가설흙막이 | 굴착 또는 성토 공사 시 지반의 붕괴, 주변의 침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사 중 임시로 설치하는 흙막이 구조물 |
굴착 | 구조물의 기초나 지하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하여 소정 의 모양으로 지반을 파내는 행위 |
기초 |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 는 하부구조물 |
깊은기초 |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반의 지지력이 부족 하거나 구조물의 허용침하량을 초과하는 경우 지중 깊은 곳에 있는 양질의 지지층에 하중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 는 하부구조물 |
비탈면 | 자연적 또는 인공적으로 형성된 지반의 경사면 |
암 | 구성광물, 암종, 단위중량, 일축압축강도, 탄성파 속 도, 팽창성, 내구성 지수 등을 이용하여 분류하는 암석과 암석의 종류, 강도 및 풍화도, 불연속면 등의 특성에 따라 분류되는 암반으로 구분되는 지반재료 |
앵커 | ① 흙막이 구조물, 비탈면, 터널 등의 안정화, 구조물 의 부상(浮上) 방지 등을 위해 설치하는 구조체 ② 콘크리트 구조체에 다른 부재를 정착하기 위하여 선설치 또는 후설치하는 구조 요소 |
얕은기초 |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기초 지반에 직접 전달하 여 지지하는 얕은 깊이의 하부구조물 |
연약지반 | 구조물의 기초 지반으로서 충분한 지지력과 침하 에 대한 안정성을 갖지 못하여 지반 개량 또는 보강 등의 대책이 필요한 지반 |
옹벽 | 비탈면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전면과 배면 상부에 공간 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하는 구조물 |
지반 | 흙과 암으로 구성되며 각종 토목구조물, 건축물, 시설물 등이 건설되는 토대로 육상뿐만 아니라 해양지반 도 포함하는 건설공사에 관련된 지구의 표층 부분 |
지반계측 | 설계 시 고려하지 못한 불확실성과 제한사항 및 시공 전ㆍ중ㆍ후 발생되는 현장과 그 주변 지반의 변화 등에 기 인된 변동사항을 파악하여 구조물과 시설물의 안정성을 확인하고 필요시 그 결과를 추가적으로 설계 및 시공에 반 영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것 |
지반조사 | 각종 토목구조물, 건축구조물, 시설물 등의 설계 및 시 공에 필요한 지반정보를 얻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 |
토공사 | 자연지형에 구조물 또는 시설물 건설을 위한 터파기, 되메우기 및 다짐, 흙쌓기, 흙깎기, 잔토처리 등 흙을 대상 으로 하는 지반 형성 공사 |
국가건설기준용어집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가건설기준센터
728x90
반응형
'건설기준용어 > 공통, 지반,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반건설 분야의 건설기준용어 (0) | 2020.11.09 |
---|---|
지반공사 분야의 건설기준용어 (0) | 2020.10.21 |
공통 분야의 건설기준용어 (0) | 2020.10.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