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욕실 관리 방법
청소
- 변기 세척을 위해 염산 등 산성물질을 쓰면 배관이 부식되므로 절대 사용 하지 마십시오.(이는 수질 오염에도 문제가 됩니다.)
- 욕실 전용 세제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욕조 세면기기
- 평소에 청소는 마모성이 없는 욕실 전용 세제와 스펀지 또는 나일론 수세미를 사용해 주세요.
- 철 수세미와 광택제 등 연마제 성분의 세제를 사용할 경우 욕조 및 세면기기 표면의 흠집이 생겨 추후 변색의 원인이 되니 사용하지 마십시오.
- 욕실 전용 세제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욕조 배수구에는 거름망을 사용하시어 이물질이 배관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십시오.
막힘
- 변기가 넘치는 주요 원인은 일회용 기저귀, 많은 양의 화장지, 위생용품, 면봉, 치실, 아기 장난감, 머리카락 등 가정 용품이 배관을 막기 때문 입니다.
- 소량이라도 음식물 쓰레기를 양변기에 버리지 마십시오. 오물에 의해서 막히기도 합니다. 변기 사용 후에는 충분한 양의 물을 흘려 보내 주어야 합니다.
- 또한 양변기 탱크 안에 벽돌과 같은 이물질을 넣으면 고장 및 배수관 막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기름 성분을 배수구에 흘려 버리시거나 배수구의 거름망을 제거하시고 사용하시면 배수구의 막힘의 원인이 됩니다. 압축식 하수봉을 이용하여 막힌 트랩을 뚫을 수 있습니다.
- 배관을 뚫는 약품을 사용하게 되면 개인적인 외상이나 기기에 손상을 주지않게 약품 취급 설명서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욕실 문
- 욕실 사용, 청소 후 습기에 의해 목재가 팽창하여 문에 변화가 생길 수 있으니 사용시 환풍기를 작동하시고 사용 후에는 마른 걸레로 닦아 주시거나 문을 잘 말려 주셔야 추후 발생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욕실사용 주의사항
- 미끄러질 염려가 있으니 문턱과 바닥의 물기와 비눗기를 제거하시고, 욕조에 샤워 커튼을 달아서 바닥에 물을 흘리지 않도록 하십시오.
- 욕실 신발은 바닥이 잘 미끄러지지 않는 것을 사용하십시오. 어린이나 노인이 있는 댁에서는 욕실 미끄럼방지용 스티커를 바닥에 붙이면 미끄럼 사고로 부터 더 안전해집니다.
- 욕실 내부에는 날카로운 물건이나 단단한 물건을 놓아두지 마십시오. 미끄러질 경우에 부딪치거나 찔려서 일어나는 2차 사고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 욕조의 물을 비워 두고, 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수세식 변기의 뚜껑을 닫아 주십시오. 아이가 변기 물로 장난을 치거나 빠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세면기가 떨어져 파손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즉시 보수하십시오. 세면기를 손으로 누르거나 세면기 위에 앉거나 발을 씻기려고 아이를 세면기에 세우는 등 체중을 싣는 행위를 하지 마십시오.
- 세면기가 탈락하여 다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화상의 예방을 위하여 샤워부스와 욕조 내에서 온수 사용시에는 반드시 물의 온도를 확인 하신 후 물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욕실 배기팬에 샤워기로 물을 뿌리거나, 샤워 중에 만지면 감전의 위험이 있습니다.
- 비데 본체 스위치 부분이 물에 닿으면 고장 및 감전의 원인이 됩니다.
- 비데 사용시 난방 변좌나 온풍 건조 기능을 장시간 사용 시 저온화상의 위험이 있으니, 특히 어린이나 온도를 스스로 조절할 수 없는 분, 피부가 약하신 분은 주의해 주십시오.
- 욕실 천장 등기구를 교체할 때는 바닥이 미끄러우므로 한 사람이 의자를 잡아 주고 한 사람은 작업해 주십시오.
728x90
반응형
'우리집 사용설명서 > 관리요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과적인 매트리스 관리 방법 6가지 (0) | 2020.10.28 |
---|---|
바람직한 주방 관리 방법 | 우리집 사용 설명서 (0) | 2020.10.27 |
도어, 코킹(실란트, 실리콘) | 우리집 관리방법 (0) | 2020.10.26 |
에너지 관리 요령 | 공동주택 사용 설명서 (0) | 2020.10.25 |
겨울철 골칫거리 결로(結露) 예방법 (0) | 2020.09.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