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에 사용하는 알기쉬운 목재의 이해 (사용별)
목재의 구분
가공여부에 따른 분류
- 원목 : 생산지에서 벌목된 제재 전의 생목재
- 제재목 : 원목을 제재하여 만들어진 가공된 목재
모형(형상)에 의한 분류
- 각재 : 제재 과정을 거처 생산된 목재의 폭이 두께의 3배 미만인 제재목 한치각(다루끼), 투바이, 산승각 등
- 판재 : 제재 및 가공 과정을 거처 생산된 두께 80mm 이하에 폭이 두께의 3배 이상인 목재 합판, 집성판, MDF, OSB, 파티클보드 등
사용되는 공사 유형에 따른 분류
- 토목용목재 : 토목공사에 사용되는 목재로 범위가 넓어 보통 터파기 등에 사용되는 토류판만을 지칭하기도 함
- 골조용목재 : 골조공사에 사용되는 목재로 공사 여건상 1~3회 사용되는 제품으로 가격이 저렴한 뉴송각재와 수입 합판이 주로 사용됨
- 내장용목재 : 건축 내장공사에 사용되는 목재로 마감(노출)이 아니면 저렴한 제품이 사용되며 마감(노출)의 경우 고급목재가 사용됨
건축용 목재의 종류
자재의 종류 |
구분 |
기준 |
|
원목 |
소경재 |
지름이 150mm 미만인 것 |
|
중경재 |
지름이 150mm 이상, 300mm 미만인 것 |
||
대경재 |
지름이 300mm 이상인 것 |
||
조각재 |
소조각재 |
너비가 150mm 미만인 것 |
|
중조각재 |
너비가 150mm 이상, 300mm 미만인 것 |
||
대조각재 |
너비가 300mm 이상인 것 |
||
제 |
판재류 |
좁은 판재 |
두께가 30mm 미만, 너비가 120mm 미만인 것 |
넓은 판재 |
두께가 30mm 미만, 너비가 120mm 이상인 것 |
||
두꺼운 판재 |
두께가 30mm 이상, 75mm 미만인 것 |
||
사면 판재 |
너비가 60mm 이상이고 횡단면이 사다리꼴인 것 |
||
각재류 |
작은 정각재 |
두께가 75mm 미만이고 횡단면이 정사각형인 것 |
|
작은 평각재 |
두께가 75mm 미만, 너비가 두께의 4배 미만이며 횡단면이 직사각형인 것 |
||
큰 정각재 |
두께와 너비가 75mm 이상이며 횡단면이 정사각형인 것 |
||
큰 평각재 |
두께와 너비가 75mm 이상이며 횡단면이 직사각형인 것 |
||
구 |
육안 |
1종 구조재 |
두께가 38mm 이상, 114mm 미만이고 너비는 38mm 이상인 것 |
2종 구조재 |
두께와 너비가 114 mm 이상이고 두께와 너비의 치수 차이가 52mm 이상인 것 |
||
3종 구조재 |
두께와 너비가 114mm 이상이고 두께와 너비의 치수 차이가 52mm 미만인 것 |
||
구조용 |
소단면 집성재 |
횡단면의 짧은 변이 75mm 미만이고, 긴 변이 150mm 미만인 것 |
|
중단면 집성재 |
횡단면의 짧은 변이 75mm 이상이고, 긴 변이 150mm 이상인 것 중에서 대단면 집성재를 제외한 것 |
||
대단면 집성재 |
횡단면의 짧은 변이 150mm 이상이고, 단면적이 30,000mm² 이상인 것 |
건조 유무에 따른 분류(일부 품목)
- 건조목 : 수분함량 15% 미만으로 기계건조 시킨 목재
- 비건조목 : 수분함량 15% 이상의 자연건조 시킨 목재
건축용 목재의 함수율
목재의 함수율은 KS F 2199에 따라서 측정한다.
공사에 사용되는 목재의 함수율은 개별 목재 제품에 대한 한국산업표준 또는 설계도서에 따르며, 한국산업표준이나 설계도서에 명시되지 않은 경우는 아래 표에 따른다.
내장 마감재로 사용되는 목재의 경우에는 함수율 15% 이하로 하고, 필요에 따라서 12% 이하의 함수율을 적용한다.
한옥, 대단면 및 통나무 목조공사에 사용되는 구조용 목재 중에서 횡단면의 짧은 변이 900mm 이상인 목재의 함수율은 24% 이하로 한다.
종별 | 건조재12 | 건조재15 | 건조재19 | 생재24 | 생재30 |
함수율 | 12%이하 | 15%이하 | 19%이하 | 19%초과 24%이하 | 24%초과 |
함수율
목재의 무게에 대한 목재 내에 함유된 수분 무게의 백분율(%)로서 함유수분의 양을 목재의 무게로 나누어서 백분율로 구하며, 기준이 되는 목재의 무게를 구하는 시점에서의 함수율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구분함
1. 건량 기준 함수율(%): 함유 수분의 무게를 목재의 전건무게로 나누어서 구하며 일반적인 목재에 적용되는 함수율
2. 습량 기준 함수율(%): 함유 수분의 무게를 건조 전 목재의 무게로 나누어서 구하며 펄프용 칩에 적용되는 함수율
원산지(품종)에 따른 분류(일부 품목)
- 소송 : 러시아산 침엽수 – 옹이가 적고 강도저하가 비교적 적음, 가볍고 연질
- 뉴송 : 뉴질랜드산 침엽수 – 제재시 거친면으로 저렴함, 골조용 공사에 사용
- 미송 : 북미산 침엽수 – 가공은 용이하나 건조가 늦고 내후성이 낮음
- 라왕 : 인도네시아산 상록수 – 가공은 용이하나 내구성이 약함
- 레드파인(홍송) : 러시아산, 핀란드산 – 내구성이 좋고 색상이 좋아 판재로 사용
'건설자재 > 목재, 바닥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방가구 이론(종류, 구성, 구조 등) (0) | 2020.11.23 |
---|---|
가구의 소재(표면재) (0) | 2020.11.21 |
가구의 소재(심재)와 친환경 등급 (0) | 2020.11.19 |
건설에 사용하는 목재의 이해(재료별) | 건설 자재 (0) | 2020.1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