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철근의 규격과 사용
철근의 분류
일반용 SD400 D13의 경우

골조공사 시기별 철근 투입 규격
기초공사 | 지하층 골조공사 | 지상층 골조공사 | 옥탑층 골조공사 | |
사용 규격 | D22/D25mm | D19/D22/D25mm | D10/D13/D16mm | D10/13mm |
두꺼운 철근 | 얇은 철근 | |||
사용 길이 | 9m,10 | 8m,9m, 주문길이 | 8m, 주문길이 | 8m |
장 철근 | 일반 철근 |
주문길이 : 철근의 Loss를 최소화하기 위해 단위 길이가 대량으로 사용되는 길이철근은 주문규격 길이로 발주
골조공사 철근 투입량
품명 | 단위 | m2당 투입량 | 평당 투입량 |
철근 | ton | 0.07 | 0.231 |
30평 1세대 철근 소요량 : 0.231x30 = 6.93ton
33평 100세대 아파트 철근 총 소요량 : 0.231 x 33 x 100 = 762ton
특징 및 용도
- 국내 일반 건축물은 이형철근 SD400 8m규격이 대부분
- 제강사 직송으로 25톤 단위 발주 시 제주도 제외한 전지역 운임 없음
- 수입산의 경우 25톤 단위 발주시 수도권 지역 운임 없음
철근 1 ton번들 묶음(본수, 중량)
구분 | 8m | 9m | 10m | |||
D10 | 210 | 941 | 210 | 1,058 | 180 | 1,008 |
D13 | 120 | 955 | 120 | 1,075 | 100 | 995 |
D16 | 75 | 936 | 75 | 1,053 | 60 | 936 |
D19 | 56 | 1,008 | 49 | 992 | 44 | 990 |
D22 | 41 | 997 | 37 | 1,012 | 33 | 1,003 |
D25 | 32 | 1,019 | 28 | 1,003 | 25 | 995 |
철근 품질 시험 항목
구분 | 시험항목 | 내용 | 비고 |
기계적 성질 | 인장강도 | 당기는 힘 | |
항복점 | 탄성변형이 일어나는 한계응력 | ||
연신율 | 재료를 잡아 당겼을 때 늘어나는 비율 | ||
굽힘시험 | 90도, 180도 굽혔을 때의 안쪽 반지름 | ||
화학성분 | P | 화학적 시험 | |
S | |||
제원 | 단위무게, 마디평균간격, 단면형상 |

철근 표면 녹 발생
발생원인
- 제품을 옥외 보관시 빗물 등 수분에 의해 녹발생 촉진
- 템프코어제품(주로 D10~D19)은 표면에 산화 피막이 제거됨에 따라 일반제품에 비해 녹발생이 빠르게 진행됨
- 해당 원인으로 철근 표면 녹발생하여 현장에서 반품 및 교환 요구
제품영향
- 철근 녹발생 유무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결합력 분석결과 녹발생 철근이 녹없는 철근에 비해 콘크리트 부착력이 큼
- 철근은 마디에 의해 철근 콘크리트와 결합하므로 녹에 의한 부착력의 저하는 없음
- 철근에 생성된 녹은 콘크리트 배합시 시멘트와 같이 부동태 피막의 형성으로 녹은 더 이상 진행되지않음
- 철근의 녹이 콘크리트 부착에 방해가 될 정도의 녹이 겹겹이 층을 이루지 않거나, 녹으로 인한 중량의 손실은 원 중량의 6%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사용상 문제가 되지 않음
조치사항
- 소비자에게 철근의 녹발생은 품질에 영향이 없음을 충분히 이해 설득시킴
- 제품의 기계적 성질을 만족하면 녹은 반품사유가 아님
- KS기준(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7.겉모양) 이형 봉강에서 녹, 겹침, 표면 부정 및 압연 딱지는 철솔질한 시험편의 무게, 단면적, 치수 및 기계적 성질이 이 규격의 요구에 만족하면 반품의 사유가 아님
728x90
반응형
'건설자재 > 철근, 형강, 파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근에 대한 이해와 종류 (0) | 2021.01.23 |
---|---|
PHC 파일 공사 | 건설 자재 (0) | 2020.12.04 |
PHC 파일의 이해 | 건설자재 (0) | 2020.1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