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철근에 대한 이해와 종류
철근 소개
철근에 대한 이해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성하는 주요 재료로서 압축력에 강한 콘크리트와 인장력에 강한 이형철근을 결합하여 사용
- 철근과 콘크리트는 온도 변화에 따른 구조변화가 매우 적어 일정 강도 유지
- 단위는 kg/ton 으로, 국내 7대 제강사/수입(중국산/대만산/일본산) 주로 거래 중
- 철 스크랩비/전기료 감안해 제강사 고시가(건자회와 분기별 협의가) 책정
철근의 분류
표면 형상에 따른 분류
구분 | 기호 | 표면 형상 | 사례 이미지 |
원형철근 | SR (Steel Round,원형) |
표면에 마디와 리브의 돌기 없음 | ![]() |
이형철근 | SD (Steel Deformed,이형) |
표면에 마디와 리브의 돌기 있음 | ![]() |
강도에 따른 분류
구분 | 용도 | |
일반강도철근 | SD300(D) | 일반바(Mild Bar)로 불리며 주로 토목현장에 쓰임 |
고강도 철근 | SD350 | 일반바와 하이바의 중간 물성치를 지니며 지하철공사 현장(터널 등)에 주로 쓰임. / 최근에는 하이바로 대체 사용하는 추세임 |
SD400(HD) | 하이바(Hi Bar)로 불리며 주로 일반 건설현장에 쓰임 | |
초고강도 철근 | SD500(SHD) | 슈퍼바로 불리며 초고층 건물 지하 현장에 주로 쓰임. LH현장 최근 사용 증가 |
SD600(UHD) | 초대형 구조물 사용 | |
SD700이상 |
직경에 따른 분류
직경 | 표기 | 일반 건축물 사용 용도 | 비고 |
Ø 10mm | 10 | 벽체 수평근, 바닥 Slab 철근 ● | |
Ø 13mm | 13 | 벽체 수평근, 바닥 Slab 철근 | |
Ø 16mm | 16 | 벽체 수직 보강근, 바닥 Slab 보강근 | |
Ø 19mm | 19 | 기둥 수직근, 보 주근 | |
Ø 22mm | 22 | 기초 철근, 기둥 수직근, 보 주근 | |
Ø 25mm | 25 | 기초 철근, 기둥 수직근 | |
~ | ~ | Ø 3mm 간격 생산 | |
Ø 41mm | 41 | 초고층 건물 |
길이에 따른 분류
(제강사 6~12M 생산. 8,9,10M 일반적인 생산/6,7,11,12M 주문요청시 생산)
규격 | 8m | 9m | 19m |
10mm | ● | ○ | ○ |
13mm | ● | ● | ○ |
16mm | ● | ○ | ○ |
19mm | ● | ○ | ○ |
22mm | ● | ● | ○ |
25mm | ● | ○ | ○ |
●유통사 하치장 상시 재고 규격 소량 발주 가능
○제강사 재고로 발주 가능 규격 25톤 차량 단위 발주
- 그 외 규격은 주문 규격 발주
- 제강사 6~12m 생산가능
- 25톤 차량 단위 발주시 0.1m까지 발주가능
세부 구분
구분 | 표시방법 | TAG | ||
숫자 | 도트(Dot) | |||
일반용 | SD300 | 각인없음 | 각인없음 | 녹색 |
SD350 | 3 | ● | 적색 | |
SD400 | 4 | ●● | 황색 | |
SD500 | 5 | ●●● | 검정 | |
SD600 | 6 | ●●●● | 회색 | |
SD700 | 7 | ●●●●● | 청색 | |
용접용 | SD400W | ●+4 | ●+●● | 흰색 |
SD500W | ●+5 | ●+●●● | 분홍 |
예시
SD300 일반철근 | SD 400 고강도철근 |
![]() |
![]() |
728x90
반응형
'건설자재 > 철근, 형강, 파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근의 특징, 용도, 녹 발생 사용기준 (0) | 2021.01.24 |
---|---|
PHC 파일 공사 | 건설 자재 (0) | 2020.12.04 |
PHC 파일의 이해 | 건설자재 (0) | 2020.1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