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PHC 파일의 이해 | 건설 자재
정의
-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프리텐션방식 원심력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
- 원심 성형법에 의해 생산된 프리스트레스트 도입의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입니다.
- 78.5 Mpa (800 kgf/㎠)의 압축강도를 지닌 제품으로 설계 지지력이 큽니다.
사용장소
- PHC 파일은 아파트 기초 공사자재로 범용적으로 사용됩니다.
- APT 외에도 고층구조물, 교량 교각, 플랜트구조물의 기초자재로 활용됩니다.
분류
1. 파일종류
일반 PHC Pile | 초고강도 UHC Pile | 대구경 PHC Pile |
현재 시장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 일반 PHC Pile의 압축강도 78.5Mpa를 110Mpa로 높인 것 | 구경 D700mm 이상의 PHC Pile을 대구경파일이라고 함 |
2. Type 종류 : 압축강도, 유효 프리스트레스와 PC강봉 규격, 가닥수에 따른 타입 분류
A-Type (78.5Mpa) | B-Type (83.4Mpa) | C-Type (83.4Mpa) |
유효 프리스트레스 : 40kg/㎠ - 시장 범용적 사용규격 - APT, 일반건축물 등에서 사용 |
유효 프리스트레스 : 80kg/㎠ - 토목현장 복합말뚝 사용 - 내진성 관련 효율성 높음 |
유효 프리스트레스 : 100kg/㎠ - 사용빈도 낮음 - 토목 및 플랜트에서 일부 사용 |
3. 구경별 : 구경에 따른 파일 분류
D400 | D450 | D500 | D600 | D700~ |
사양 규격 - 생산가능 제조사 극히 드뭄 |
일반 건축물 및 소형 APT 사용 - 일부 현장만 국한 되어 사용됨 |
일반 APT 및 대다수 건물 사용 - 시장 범용적 규격 |
일반 APT 및 토목, 플랜트구조물 사용 - 시장 범용적 규격 |
초고층건축물, 플랜트 구조물 사용 - 일부 현장만 국한되어 사용됨 |
기타
- 선단 하부에 부착하는 Shoe와 이음파일 사용시 결합되는 Welding joint가 있습니다.
Mamila Shoe(선단 하부 부착 Shoe)
구분 | Mamilla Shoe 폐합형 | Mamilla Shoe 천공형 |
장단점 | 경사 및 지중 장애물들이 있는 경우 직진성 우수 -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 경타 중 말뚝의 지지층 안착이 어려움 - 선단부에 돔이 형성되어 소정의 깊이까지 시공가능 |
직타공법 및 경타공법 적용시 관입성 좋음 -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 부력상쇄 효과로 파손예방 -말뚝내부로 시멘트풀 유입으로 주면 마찰력 축소 우려 시 항주고정액 보충사용 |
시공성 | 직타공법 적용시 선단저항력 증가로 파일 관입성 저하 - 매입공법 적용시 선단부 폐쇄로 하부슬라임 관입성 저하 |
직타공법 적용시 관입성 중간 - 매입공법 적용시 선단부 부분 폐쇄로 하부 슬라임 관입성 증가 |
Welding Joint (용접 이음 체결)
PHC Pile은 KS F 4306 에 의거 5~15M까지 생산되며, 그 이상의 관입길이 시 이음을 통해 사용

말뚝박기 장비
- 말뚝박기 장비는 말뚝에 손상을 주는 것이어서는 안 되며, 작업 실시 전 사용말뚝, 지반조사 자료 및 항타장비에 대한 자료와 함께 파동이론 분석(wave equation analysis of pile driving)결과를 공사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 공사감독자는 관입깊이에 따른 예상지지력, 최종관입량, 항타응력의 크기 등 파동이론 분석결과를 토대로 항타장비에 대한 사용승인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리드(lead)
- 타입하는 동안 말뚝과 해머를 적절한 위치에 지탱하는 말뚝드라이브 리드를 사용하여야 한다.
- 리드는 각 타격에 대해 집중타격을 보장하기 위해 해머와 말뚝의 정렬을 유지하면서도 해머의 움직임이 자유로울 수 있는 방법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항타보조말뚝
- 말뚝박기에는 가능한 한 항타보조말뚝의 사용을 피하여야 한다. 다만, 해머가 말뚝머리를 직접 때리기 곤란한 경우에는 공사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항타보조말뚝을 사용할 수 있다.
- 이 때에는 말뚝 10개 중 1개씩은 긴 것을 사용하여 지지력을 결정할 수 있는 시험말뚝으로 직접 박아야 한다.
- 항타보조말뚝을 사용하는 경우의 동재하시험은 시공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실시한다.
부속재료
- 피복 아크 용접봉 심선재는 KS D 3508,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은 KS D 7004의 해당사항에 적합하거나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 용접용 케이블은 KS C IEC 60245-6, 교류 아크 용접기는 KS C 9602, 용접용 호울더는 KS C 9607에 따른다.
품질관리시험
- H형강 말뚝에 대한 시험은 KS F 4603에 따른다.
- 기초용 강관 말뚝에 대한 시험은 KS F 4602에 따른다.
- 프리텐숀 방식 원심력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에 대한 시험은 KS F 4306에 따른다.
- 용접용 재료는 KS D 3508에 따른다.
PHC 파일 공사 | 건설 자재
PHC 파일 공사 현장 개설 개요 철거공사 가설공사 흙막이공사 토공사 파일공사 기초공사 골조공사 본공사 파일공사 세부사항 설계사무소에서 착공도서 작성시 공사현장 부지에 대해 지반 조사
risks.tistory.com
728x90
반응형
'건설자재 > 철근, 형강, 파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근의 특징, 용도, 녹 발생 사용기준 (0) | 2021.01.24 |
---|---|
철근에 대한 이해와 종류 (0) | 2021.01.23 |
PHC 파일 공사 | 건설 자재 (0) | 2020.1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