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기술사, 건축기사 용어정리56 가설공사, 토공사, 지정 기초공사 | 건축시공 용어정리 가설공사 1. 소운반 공사장내에서의 근거리 운반 또는 사용장소까지 운반 2. 대운반 재료의 원거리 운반 또는 공사 현장가지 운반 3. 구대(構臺 : over bridge) 대지가 협소할 경우 적법한 절차에 따라 인근 보도의 상부에 설치하게 되는 현장 사무소 등의 구조물 4. 기준점(bench mark) 공사 중에 높낮이의 기준이 되도록 건축물 인근에 설치하는 것 5. 커플링(coupling) 강관파이프 비계의 직선연결에 쓰이는 부속철물 6. 달비계 건물의 고정된 돌출보 등에 밧줄이나 와이어 등으로 매어다는 비계로 고층건물의 외부마감 공사, 외벽청소, 유리창 청소 등에 사용 토공사 1. 압밀 외력에 의하여 간극 내의 물이 빠져 흙 입자간에 사이가 좁아지며 침하되는 것 2. 예민비 흙을 이김에 의해 약해지는.. 2020. 4. 3. 총론 | 건축시공 용어정리 1. 시공도(shop drawing) 시공도는 작업자나 기능공이 설계를 기준으로 실제로 시공할 수 있도록 도급업자나 하도급 업자에 의하여 작성된 상세하고 기본이 되는 도면 2. 담합(combination) 입찰에 있어서 경쟁자간에 미리 낙찰자를 협정하여 정하는 것 3. 덤핑(dumping) 공사 원가보다 현저히 저렴한 가격으로 도급 맡는 것 4. 정초식(定礎式) 기초공사 완료시에 행사는 의식 5. 상량식(上梁式) 콘크리트조에서 지붕공사 완료시에 행하는 의식 6. 직용노무자 원도급업자에 직접 고용되어 임금을 받는 노무자로서 잡역 등 미숙련자가 많다. 7. 정용노무자 전문업자, 하도급업자에게 상시 종속되어 있는 기능노무자로 출역일수로 임금을 받는다 8. 임시고용노무자 날품노무자로서 보조노무자이고, 임금도 싸.. 2020. 4. 2. WBS(작업분류체계), MCX (최소비용계획), 총론 | 용어정의 ISO 14000 ISO 14000이란 국제표준화 기구에서 제정하는 환경경영에 관한 국제 규격으로, 기업이 환경보호 및 환경관리 개선을 위한 환경경영 system 기본요구사항을 갖추고, 규정된 절차에 따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음을 제3자가 평가하여 인증하는 제도를 말한다.(ISO 14000은 생산과정에서 오염물질의 생성·배출을 최소화 하여 무배출·무오염·무결점을 목표로 한다) ISO 18000 ISO 18000이란 산업안전 및 보건에 대한 근로자의 생명보호와 작업환경을 개선하려는 국제적인 제도(모든 직장에 적용할 수 있는 안전과 보건·위생에 관한 포괄적인 내용과 공기·소음·진동 등에 관한 작업장 환경기준 등의 제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조만간 국제규격으로 적용될 전망) 환경관리비용 환경관리비용이란 공.. 2020. 3. 25. 목재방부법, 연돌, 환경친화건축 등 | 용어정의 목재 방부법 목재의 부패원인은 적당한 온도(20~40℃)·습도(90% 이상)·공기 및 양분이 적절한 상태에서 부패균에 의해 lignin과 cellulose가 용해되는 것이다.(도포법,주입법,침지법,표면탄화법,생리주입법) Suspended glazing system(suspension공법) 벽 전체에 유리를 매달아 설치하여 개방감을 주고자 할 때 사용하며, 종래보다 두께가 두꺼운 대형유리를 사용한다(자중에 의해 완전한 평면을 유지하며, 유리 내부에 응력이 발생하지 않아 굴곡이 생기지 않는다) Structural sealant glazing system 외벽 창호공사 curtain wall에서 metal mullion이나 glass mullion에 구조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유리를 고정하는 방법이다.(유리의 .. 2020. 3. 25. 타일, 미장, 수지미장 등 | 용어정의 Lintel(인방보) 창·문꼴 위에 가로질러 설치하여, 상부의 수직 및 집중하중을 좌우 벽체로 분산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보(문꼴나비가 1m이내는 목재 또는 석재로하고, 1m를 넘는 경우 철골 또는 콘크리트보로 한다) Bond beam 조적벽체에서 벽을 일체화시키고, 집중하중 또는 국부적인 하중을 균등히 분포시키기 위한 철근콘크리트 보를 bond beam이라 한다(설치위치에 따라 테두리보,기초보,벽돌 보강보로 구분함) 내력벽(Bearing wall) 내력벽이란 벽체·바닥·지붕 등이 자중·수직하중·수평하중 등의 외력을 받아 기초에 그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벽체를 말한다(내력벽은 구조적으로 수평하중을 받으면 전단력과 휨력을 동시에 받게 되며, 휨력은 벽의 단부나 문꼴의 갓둘레의 철근이 받고, 전단력.. 2020. 3. 25. 철골용어 비파괴검사, 각장부족, 방사선투과 | 용어정의 각장부족 각장(다리길이:leg)이란 모살용접에서 모재 표면의 만난 점에서 다리 끝까지의 길이를 말하며 각장부족이란 한쪽 용착면의 다리길이가 부족한 현상으로 용접결함의 일종 방사선 투과법 비파괴검사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검사방법으로 ,X선,r선을 용접부에 투과하고, 그상태를 필름에 형상을 담아 내부 결함을 추정하는 방법(검사상태가 기록에 남겨 보존할 수 있으며, 검사방법이 간단하고 신뢰성이 있어 널리 사용됨) 초음파탐상법(Ultrasonic test) 용접부위에 초음파를 투입과 동시에 브라운관 화면에 용접상태가 형상으로 나타나며, 결함의 종류·위치·범위 등을 검출하는 방법(브라운관 화면에 나타난 영상으로 결함을 판정하며 넓은 면을 판단할 수 있고, 검사속도가 빠르고 경제적인 비파괴 검사법이다. ) Scal.. 2020. 3. 25. 콘크리트 종류, 한중, 서중콘크리트 | 용어정의 서중 콘크리트 하루 평균기온이 25℃를 초과하는 것이 예상될 때 시공하는 콘크리트로, 부어넣을 때 온도는 35℃ 이하로 유지한다. 한중 콘크리트 하루 평균기온이 4℃ 이하가 되는 경우 한중 콘크리트의 적용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초기 양생기간 내에 50㎏f/㎠이 얻어지도록 양생 매스콘크리트 Mass con'c 보통 부재단면의 최소치수가 80㎝ 이상이고, 하단이 구속된 경우에는 두께 50㎝ 이상의 벽체 등에 적용되는 con'c를 말한다. 온도구배 Mass 콘크리트나 한중 콘크리트의 타설시 콘크리트 부재의 내외부 온도차를 말하며, 주원인은 cement paste의 수화열에 의해 발생 기포 콘크리트 기포제를 cement에 혼합하는 경우 물리적 반응에 의해 기포를 발생시키거나, 발포제를 사용하여 화학적 반응.. 2020. 3. 25. 철근콘크리트 조인트, 시공하자 등 | 용어정의 Cold joint 콘크리트 타설온도가 25℃ 초과일 때 120분 이상, 25℃이하에는 150분이 지난 후 이어붓기할 경우에 콘크리트가 일체화 되지 않아 발생하는 joint로써 누수의 원인이 되며, 강도상 취약한 부분이 된다. Expansion joint 건축 구조물의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수축 혹은 부동침하·진동 등에 의해 균열 발생이 예상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균열방지를 위한 joint. settlement joint (침하줄눈) expansion joint의 일종으로 부동침하 등의 변위를 미리 예상하고 침하예상 깊이 만큼 높여서 시공하는 것 수축줄눈(control joint) 수축줄눈이란 건조수축으로 인한 균열을 전체 벽면 중의 일정한 곳에서만 일어나도록 단면의 결손부위로 유도하여, 건축물의 외관손상.. 2020. 3. 24. 히빙, 보일링, 파이핑 등 | 용어정의 Heaving 현상 연약점토지반의 굴착시 흙막이벽 내외의 흙의 중량차이에 의해서 굴착저면 흙이 지지력을 잃고 붕괴되어, 흙막이 바깥에 있는 흙이 안으로 밀려 굴착저면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 Boiling 현상 투수성이 좋은 사질지반에서 흙막이 배면 지하수위와 굴착저면과의 수위차에 의해, 굴착저면을 통하여 모래와 물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모래입자가 부력을 받아 저면의 모래지반의 지지력이 감소(수동토압)되어 흙막이벽이 밀려나게한다) Piping 현상 Piping이란 사질 지반에서 흙막이 배면의 미립 토사가 유실되면서, 지반 내에 pipe 모양의 수로가 형성되어 지반이 점차 파괴되는 현상 계측관리 (정보화시공) 계측관리란 strut·토압·인근건물 및 지반의 변형·균열 등에 대비하고 흙막이 벽체의 변형 등을 미.. 2020. 3. 24. 이전 1 ···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