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동절기 주요 점검사항 | 안전보건공단
화재, 폭발, 질식, 방동제 중독
대상 | 점검사항 |
화재 및 폭발 | 가설숙소, 현장사무실 및 창고 등의 난방기구 배치 및 전열기 상태의 적정성 - 난방기구 주변 유류 및 가연성물질 방치 여부 - 화기 주변 및 출입구 주위에 소화기, 방화사 등 진화장비 비치 여부 - 전기기계·기구의 누전차단기 설치 적정 여부 |
우레탄폼 등 가연성 자재 관리상태의 적정성 - 우레탄폼의 난연성 여부 - 우레탄폼 등 가연성 자재 사용구간 인접부위에서 화기 등 사용 여부 - 우레탄폼 등 가연성 자재 인접부위 화기 사용 불가피시 안전관리자 감독 여부 및 소화시설 구비 여부 |
|
위험물질 관리상태의 적정성 - 용접작업 주변 신나, 방수제, 유류 등 인화성, 발화성 물질 방치 여부 - 위험물질 보관저장소의 위치, 상태 등의 적정성 여부 |
|
발파작업 - 동결한 다이너마이트에 대한 안전조치 여부 - 장약 작업시 화기의 사용금지 등 조치상태 - 마찰·충격 등 폭발 발생위험이 없는 장진구 사용 여부 - 화약류 관리책임자 선임여부 - 기타 발파 작업시 안전기준 준수 여부 |
|
질식 및 방동제 중독 | 방동제 취급 근로자에 대한 MSDS 교육 실시 여부 |
방동제 희석용 용기에 MSDS 경고표지 부착 여부 | |
방동제를 덜어서 사용하는지 여부 | |
방동제를 덜어서 사용할 경우 소분용기에 MSDS 경고표지 부착여부 | |
콘크리트 양생용 갈탄 및 가열보양용 난로 사용 시 환기 또는 호흡용 보호구 착용 여부 및 환기 가능 여부 | |
밀폐공간 내 환기·통풍시설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가설숙소 - 지하 정화조, 저수조, 맨홀, 지하주차장 등 |
|
밀폐공간 내 작업시 안전기준 준수여부 - 산소농도 측정 및 환기실시 여부 - 유기용제 사용작업장 주변 담배, 모닥불 등 화기 사용금지 여부 - 작업장소 출입시 호흡용 보호구 착용 여부 |
동절기 건설현장 안전가이드(개요, 화재 및 폭발) | 안전보건공단
동절기 건설현장 안전가이드 (개요, 화재 및 폭발) 개요 동절기(冬節期)라 함은 사전적 의미로 ‘겨울철’ 또는 ‘겨울철 기간’을 의미하는 말로 지역에 따라 동절기의 시기적 차이가 있을 수
risks.tistory.com
동절기 건설현장 안전가이드(질식, 방동제 중독) | 안전보건공단
동절기 건설현장 안전가이드(질식, 방동제 중독) 위험요인 콘크리트 양생용 갈탄난로의 일산화탄소에 중독 (한두 차례의 호흡으로도 의식을 잃을 수 있음) 방동제가 들어있는 물을 음료수로 오
risks.tistory.com
붕괴, 거푸집동바리
대상 | 점검사항 |
굴착사면 | 굴착사면 지반상태의 적정성 - 사면 구배의 적정성 여부(설계기준 준수, 안전성 검토 여부) - 지반내 공극수의 동결·팽창으로 인한 비탈면 상태의 이상유무(암반 불연속면의 추가 발생, 틈새크기 증가, 인장균열 발생, 토사 및 암석 흘러내림 등) - 토석의 붕괴, 낙반위험에 대한 조치 여부 - 비탈상부 노면수 유입 방지시설 설치 여부 (배수로 측구, 사면 천막비닐 설치 등) |
흙막이 지보공 | 설계도서 확인 - 시추조사, 도면, 구조계산서, 시방서 등의 확인 주변현황 확인 - 인접구조물, 지장물, 인접 공사장 등 |
흙막이 지보공 설치상태의 적정성 - 조립도 작성 및 작업순서 준수 여부 - 지하공사 완료시까지 계측항목·계측주기 이행 여부 - 재료의 적정성 및 이음, 접합부위 조립도 작성 및 이상 유무 - 부재의 손상, 변형, 부식, 변위, 좌굴, 탈락유무 - 흙막이지보공 해체시 적절한 구조검토 실시 유무 - 배면토사 충진 및 노면수 유입방지조치 여부 |
|
안전시설물 설치 여부 - 안전난간, 안전방망 등의 설치 여부 - 위험시 경보시설 설치 여부 |
|
거푸집 동바리 | 거푸집 동바리 및 비계 설치상태의 적정성 - 공통 ㆍ 거푸집 동바리 재료의 적정성(불량 미검정품 사용 등) ㆍ 구조검토 결과에 의한 조립도 작성 및 준수여부 ㆍ 전용철물 사용여부 ㆍ 동바리 수직도 확보 및 상·하단부 고정 ㆍ 동바리 설치 지반 침하방지 조치(깔판·깔목 등) ㆍ 폭설·강풍·한파 등에 대비한 안정성 확보 여부 - 파이프 서포트 ㆍ 파이프 서포트를 이어서 사용 시 4개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철물 사용 여부 ㆍ 높이가 3.5미터를 초과하는 경우 높이 2미터 이내마다 수평연결재 2개 방향으로 설치 여부 - 강관 동바리(파이프 서포트 제외) ㆍ 높이 2미터 이내마다 수평연결재 2개방향 설치 및 수평연결재 변위방지 조치 여부 ㆍ 멍에 등을 상단에 올린 경우 해당 상단에 강재의 단판을 붙여 멍에 등에 고정조치 여부 - 시스템 동바리 ㆍ수직재와 수평재 설치 상태(직각으로 설치되어있는지 확인) ㆍ수직재간 연결상태 ㆍ가새재 설치 여부 ㆍ 받침철물(최상단·최하단)의 설치상태(겹침길이 = 받침철물 전체의 1/3이상) ※ 권고사항 : 층고 4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동바리의 안전성 측면을 고려하여 시스템동바리 설치 |
콘크리트 타설시 작업방법의 적정성 - 타설 전 거푸집동바리 변형, 변위 및 지반의 침하 유무 점검실시 여부 - 타설 전 타설순서, 타설방법, 타설인원 등 타설 계획 수립여부 - 타설 시 한 곳에 집중 타설 금지 준수 여부 - 동절기 콘크리트 초기동해방지를 위한 보온조치의 이상 유무 |
동절기 건설현장 안전가이드(폭설, 결빙) | 안전보건공단
동절기 건설현장 안전가이드(폭설, 결빙) | 안전보건공단 위험요인 폭설로 인해 작업발판, 통로 등의 가설구조물이 넘어지거나 변형되어 넘어짐 또는 떨어짐 강설 또는 강우 후 결빙구간에서의
risks.tistory.com
근로자 건강관리, 사전계획, 현장주변시설
대상 | 점검사항 |
근로자 건강관리 | 작업 전 T.B.M(Tool Box Meeting) 실시여부 - 작업 전 충분한 체조 등으로 경직된 근육 이완 - 동상방지를 위한 장갑, 귀마개 등 보온장구 착용 여부 |
장시간 외기 노출시 동상 발생방지를 위한 손, 발, 귀 등 보온장비 구비 여부 - 습기가 있는 장갑, 안전화 등 착용금지 | |
기온 하강에 따른 뇌·심혈관 질환 예방조치 여부 - 충분한 휴식, 방한복 지급, 따뜻한 음료제공 등 - 추위를 피하기 위한 난방시설 설치 등 | |
기타 근로자 건강관리를 위한 예방조치 실시 여부 | |
사전계획 |
동절기 대비 공종별 작업관리계획서 작성 및 관리상태 |
비상연락망 구축여부(유관기관 및 응급조치 기관) | |
비상 대기반 편성 및 운영 여부 | |
화기관리책임자 지정 및 점검상태 이상 유무 | |
폭설 등 비상사태 발생시 이에 대한 대책수립 여부 | |
지하매설물 안전상태 확인 및 지하매설물 관련기관과의 협의 여부 | |
제설자재(염화칼슘, 모래, 부직포 등), 장비 확보 여부 및 관리방안 | |
산간지역 현장의 경우 비상용 유류, 식량 및 스노우체인 등 월동장비 준비여부 | |
현장주변시설 |
공사용 가설도로 상태의 적정성 - 노면의 폭 및 요철부분 정비 여부 - 노면의 결빙상태 제거 및 다짐 여부 - 동결·융해 반복시 단부 휀스 설치 등의 장비 전도 방지 여부 - 일정간격 모래 함, 염화칼슘 함 등 제설장비 비치 및 품질상태 확인 |
도심지 공사장 주변 상태의 적정성 - 복공판 설치구간 표면상태의 이상 유무 - 원활한 교통소통을 위한 안내표지판 및 경고표지판 부착 여부 - 일정간격 모래 함, 염화칼슘 함 등 제설장비 비치 여부 - 강풍으로 인한 자재의 떨어짐, 날아감, 근로자 추락 예상 유무 - 폭설에 따른 가설구조물 변형 및 붕괴 예상 여부 - 굴착 공사시 인접구조물 침하·변형 예상 여부 |
|
지하매설물 보호조치의 적정성 - 노출 상·하수도 관로, 제수변 및 분기개소에 보온 조치 여부 - 매설물의 노출부에 노면수 유입방지를 위한 조치 여부 - 배관 등 지하매설물 근접 굴착시 안전조치 준수 여부 - 하수관로, 맨홀 내부의 배수 및 청소상태 불량 |
동절기 건설현장 안전가이드(토사, 건강장해) | 안전보건공단
동절기 건설현장 안전가이드(토사, 건강장해) | 안전보건공단 토사 및 거푸집동바리 붕괴 위험요인 지반내부 공극수 동결팽창으로 인한 지반 변형 콘크리트 타설후 저온으로 인한 콘크리트 강
risks.tistory.com

동절기 건설현장 안전보건 가이드라인 | 안전보건공단
728x90
반응형
'건축시공 > 안전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DS(물질안전보건자료)의 제출(목록, 방법) (0) | 2021.01.19 |
---|---|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제도의 변경 (21년01월16일 부터) (0) | 2021.01.18 |
동절기 건설현장 안전가이드(토사, 건강장해) | 안전보건공단 (0) | 2020.12.12 |
동절기 건설현장 안전가이드(폭설, 결빙) | 안전보건공단 (0) | 2020.12.11 |
동절기 건설현장 안전가이드(질식, 방동제 중독) | 안전보건공단 (0) | 2020.12.10 |
댓글